연구과제 / ko 2025년도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 선정 /node/6739 <span>2025년도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3-17 (월) - 17:59</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C%82%AC%EC%97%85-%EC%84%A0%EC%A0%95-002_4.png" alt="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h6><strong>▲  (첫번째 줄 왼쪽부터) 교통공학과 김도경 교수, 생명과학과 김완태 교수, 도시공학과 남진 교수, 인공지능학과 노영민 교수, 교통공학과 박동주 교수</strong></h6><h6><strong>       (두번째 줄 왼쪽부터)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승환 교수,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주한 교수, 토목공학과 조수진 교수, 물리학과 최이나 교수, 통계학과 김윤영 교수</strong></h6><h6><strong>       (세번째 줄 왼쪽부터)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박현희 교수, 물리학과 엄영호 교수, 기계정보공학과 이동찬 교수, 조경학과 이재호 교수, 도시과학연구원 강보성 연구원</strong></h6><p> </p><p> </p><p>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이문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에 15명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개인기초연구사업'은 학문 분야별 특성에 맞는 개인 단위 연구를 통해 연구자의 창의적 기초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연구 성과를 심화·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가기초연구사업이다.</p><p> </p><p>이번 사업에는 중견연구 8명, 한우풀파기연구 1명, 우수신진연구 5명, 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 트랙) 1명 등 총 15명이 선정돼 이달부터 3 ~ 5년간 연 1억 ~ 약 2억 5천만원을 지원받아 연구에 나선다.</p><p> </p><p><strong>중견 연구</strong>에서는 총 8명이 선정되었다.  (글로벌) 리더연구자로서 성장을 위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지원하는 사업으로 ▲ 교통공학과 김도경 교수 ▲ 생명과학과 김완태 교수 ▲ 도시공학과 남진 교수 ▲ 인공지능학과 노영민 교수 ▲  교통공학과 박동주 교수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승환 교수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주한 교수 ▲ 토목공학과 조수진 교수가 선정되었다.</p><p> </p><p><strong>한우물파기 기초연구</strong>는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도 도전적인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여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물리학과 최이나 교수가 선정되었다.</p><p> </p><p><strong>우수신진연구</strong>는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의욕 고취 및 연구역량 극대화를 통해 우수 연구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 통계학과 김윤영 교수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박현희 교수 ▲ 물리학과 엄영호 교수 ▲ 기계정보공학과 이동찬 교수 ▲ 조경학과 이재호 교수가 선정되었다.</p><p> </p><p><strong>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strong>)은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핵심 과학 기술 인재로 성장 및 정착할 수 있도록 펠로우십을 통한 연구 몰입 장려하는 연구 사업으로 도시과학연구원 강보성 연구원이 선정되었다.</p><p> </p><p>산학협력단은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사업 공고 안내, 중대형 유치경비 지원사업, 연구행정인력지원사업 등을 통해 연구자 수요 맞춤형 행정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Mon, 17 Mar 2025 08:59:09 +0000 YY2020197 6739 at 환경부 등과 화학물질 안전관리 전문가 양성 업무 협약 체결(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 /node/6700 <span>환경부 등과 화학물질 안전관리 전문가 양성 업무 협약 체결(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5-02-17 (월) - 10:05</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D%98%91%EC%95%BD%EC%8B%9D.jpg" alt="협약"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는 17일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한국환경보전원 및 6개 특성화대학원과 화학물질 안전관리 전문가 양성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br /> </p><p><strong>- 7개 특성화대학원과 협력, 실무 역량 강화 및 취업 연계 확대</strong><br /> </p><p>이번 협약에는 서울시립대·대구가톨릭대·호서대(유해성 시험 분야), 경성대·서경대(유·위해성 평가관리 분야), 전남대·국립한국교통대(취급시설 안전관리 분야) 등 총 7개 특성화대학원이 참여하며, 실무 역량 강화 및 취업 연계를 통한 화학물질 안전관리 전문인력 양성에 협력할 예정이다.</p><p> </p><p>환경부는 2015년부터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학물질관리법」,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등 화학 3법 시행하여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제도적 변화를 이끌어 왔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 ‘화학물질 안전관리 특성화대학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p><p> </p><p>서울시립대학교 화학물질 안전관리 특성화대학원(연구책임자 환경공학부 최진희 교수)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화학 3법과 빅데이터 교육을 접목한 첨단 융합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실무 역량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br /> </p><p>이번 협약을 통해 7개 대학원은 현장 맞춤형 인재를 추천하고 교육훈련비를 지원하며, 화학물질안전원은 견습생(인턴) 관리와 교육과정을 담당한다. 한국환경보전원은 견습생 선발과 석·박사 전문인력의 현장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br /> </p><p>또한, 환경부와 화학물질안전원은 협약과 함께 17일부터 이틀간 대학 연차평가와 특성화대학원 발전방안 학술토론회를 개최하며, 석·박사과정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화학물질안전원 내부시설 현장 견학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성화대학원 학생들에게는 화학물질관리 및 화학안전 제도 운영 현황을 안내하고 실무 역량강화 및 취업지원 과정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p><p> </p><p>최진희 교수(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실무 중심의 교육과 현장 경험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화학물질 안전관리 분야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Mon, 17 Feb 2025 01:05:22 +0000 YY2020197 6700 at 교통공학과 이승재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과제 선정… 총 12억 원 연구비 확보 /node/6689 <span>교통공학과 이승재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과제 선정… 총 12억 원 연구비 확보</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9-05 (목) - 20:59</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C%82%AC%EC%97%85-%EC%84%A0%EC%A0%95-006.png" alt="한국연구재단"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trong><img src="https://file.uos.ac.kr/upload/smarteditor/2024/09/20240909100041.jpg" alt="좌측 교통공학과 이승재 교수 우측 최민제 연구교수" /></strong><br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원용걸) 교통공학과 이승재 교수가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사업의 ‘중견연구(유형1-글로벌형)’ 신규과제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이 교수는 향후 5년간 총 12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생성형 AI 기반의 보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 개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br /> </p><blockquote><p><strong>이승재 교수, 생성형 AI 기반의 보행 활성화 연구로 중견연구 과제 선정</strong></p><p><strong>자율주행 상황 등과 복합적인 이해 관계 규명을 통해, 보행 활성화 기여</strong></p><p><strong>교통계획연구실, 5년간 총 12억 원 연구비 확보</strong></p></blockquote><p>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과제는 창의성이 높은 개인 연구를 지원해 중견 연구자들이 우수한 기초연구 능력을 발휘하며 리더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이승재 교수는 자율주행 시대의 도래에 따라 보행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자동차와 로봇 등 첨단 기술의 발전과 보행 간의 복합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br /> </p><p>이승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율주행과 보행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심층적인 연구를 목표로 한다.”라며 “이 연구가 보행 활성화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번 과제 선정에 있어 많은 도움을 주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본부와 산학협력단 관계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고 소감을 전했다.<br /> </p><p>공동연구자인 최민제 연구교수는 “이 연구는 보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율주행 기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br /> </p><p>한편,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사업 공고 안내, 중대형 연구과제 유치 경비 지원, 연구행정 인력 지원 등의 맞춤형 행정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과제 선정을 통해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계획연구실의 연구 역량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Thu, 05 Sep 2024 11:59:21 +0000 YY2020197 6689 at 환경공학부 이정은 연구교수, 환경원예학과 장민정 박사후연구원,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선정 /node/6688 <span>환경공학부 이정은 연구교수, 환경원예학과 장민정 박사후연구원,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9-04 (수) - 20:55</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C%82%AC%EC%97%85-%EC%84%A0%EC%A0%95-005.png" alt="Post-Doc"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trong><img src="https://file.uos.ac.kr/upload/smarteditor/2024/09/20240909095043.jpg" alt="환경원예학과 장민정 박사후연구원" /></strong><br /><br /> </p><p><strong>- 환경공학부 이정은 연구교수, 환경원예학과 장민정 박사후연구원 선정</strong></p><p><strong>- 김현욱 교수와 김승일 교수, 멘토로 참여하여 공동연구 지원</strong></p><p><strong>- 매년 약 3억 원 연구개발비 지원으로 국가연구역량 강화에 기여</strong></p><p> </p><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4년도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에 환경공학부 이정은 연구교수와 환경원예학과 장민정 박사후연구원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p><p> </p><p>이 사업은 국가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박사후연구원이 우수 전임교원과 함께 멘토-멘티 기반으로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공동연구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선정된 연구원들은 앞으로 3년 동안 매년 약 3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p><p> </p><p>환경공학부 이정은 연구교수는 환경공학부 김현욱 교수와 멘토-멘티 관계를 맺고 “유기 고형 음식물 내 플라스틱의 호기성 공동 퇴비화 및 먹이사슬에 따른 농업환경 내 이동성 평가”라는 주제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 MP)의 먹이사슬을 통한 환경 이동 가능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포함한 MP가 함유된 재활용 음식물의 퇴비화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br /> </p><p>환경원예학과 장민정 박사후연구원은 김승일 교수와 함께 “고추 Pan-genome 구축 및 정밀 육종 플랫폼 개발”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고추 50개체의 개별 유전체 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고추 핵심 집단 pan-genome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br /> </p><p>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연두 단장은 “이 사업이 선정된 연구자들에게 좋은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며, 산학협력단은 앞으로도 연구교수와 박사후연구원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한 연구 인력을 육성하는 데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Wed, 04 Sep 2024 11:55:16 +0000 YY2020197 6688 at 첨단융합학부 이신형 교수 연구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node/6686 <span>첨단융합학부 이신형 교수 연구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8-05 (월) - 18:37</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C%82%AC%EC%97%85-%EC%84%A0%EC%A0%95-004.png" alt="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trong>- 소규모 연구 집단의 체계적 육성 목표</strong></p><p><strong>- 연구비 3년간 총 13.75억 원 확보</strong></p><p>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는 첨단융합학부 이신형 교수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4년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BRL, Basic Research Lab)」 신규과제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연구팀은 3년간 총 13.7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p><p> </p><p>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은 특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공계 분야의 소규모 기초연구 그룹을 지원하여 국가 기초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ICT·융합연구-전기/전자 분야(심화형)에 선정된 이신형 교수(연구책임자)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김윤 교수, 김혁 교수, 박동욱 교수 연구팀은 ‘고집적 유연 메모리 어레이 기반의 웨어러블 근전도 신호 인-센서 컴퓨팅시스템’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p><p> </p><p>향후 3년간 연구팀은 미세한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별하는 착용형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기술은 첨단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스마트 의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p><p><img src="/sites/default/files/inline-images/image_224.png" data-entity-uuid="8cb78fef-2973-431f-9aab-0d8015703058" data-entity-type="file" width="62.8%" height="347" loading="lazy" /><br /><strong>▲  첨단융학학부 이신형 교수</strong></p><p>이신형 교수는 “인공지능 반도체를 통해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고 판별하는 일체형 시스템 개발은 소재, 소자, 시스템 기술의 융합이 필요한 도전적인 주제”라며, “서울시립대학교 내 첨단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만큼 세계적 수준의 성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p><p> </p><p>이신형 교수는 생체모사를 통한 차세대 반도체 전자소자 및 웨어러블 시스템 개발 분야의 전문가로, 약 60여 편의 SCIE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현재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으로 ‘웨어러블 스마트 이미지 인식 시스템용 유기 소재 기반 아날로그 메모리 소자 및 유연 하드웨어 신경망 원천기술 개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신규 과제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시스템의 발전뿐만 아니라, 서울시립대학교의 과학기술 연구 역량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Mon, 05 Aug 2024 09:37:34 +0000 YY2020197 6686 at 서울학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신규과제 선정 /node/6684 <span>서울학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신규과제 선정</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6-11 (화) - 18:35</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C%82%AC%EC%97%85-%EC%84%A0%EC%A0%95-003.png" alt="서울학연구소"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pan><strong>- 서울시 귀속재산불하문서 DB화를 통한 활용도 제고사업 연구 수행</strong></span></p><p><span><strong>- 연구비 3년간 총 9억 원 확보</strong></span></p><p> </p><p><span>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원하는 한국학기초자료사업의 ‘한국학지역거점연구소사업’ 신규과제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학연구소는 3년간 총 9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서울시 귀속재산불하문서 DB화를 통한 활용도 제고사업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span><br /> </p><p><span>‘한국학지역거점연구소사업’은 국내 지역별 주요 주제를 심층 분석 및 연구해 지역 기초연구 분야(지역, 문화, 역사, 정체성 등)의 장기적 연구기반을 조성하는 국내 거점 연구소 지원사업이다. 이번 과제는 서울시 귀속재산불하문서를 수집, 정리, 해제 및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 서울 도시사회사 연구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span><br /> </p><p><span>귀속재산은 광복 후 일본인 소유의 토지와 가옥이 미군정에 귀속되었다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민간에 팔린 재산이다. 서울학연구소는 이러한 귀속재산 불하 과정에서 생산된 문서를 분석해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를 통해 서울의 역사와 도시사회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span><br /> </p><p><span>해당 사업 연구책임자인 서울학연구소 염복규 소장(국사학과 교수)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출발점을 밝히는 이번 과제를 수행하게 되어 영광이다. 과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은 지원을 해주신 서울시립대학교 본부와 산학협력단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는 소감을 밝혔다.</span><br /> </p><p><span>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는 1993년 설립된 이래 역사문화도시 서울의 정체성 확립 및 국내외 지역학 연구의 허브 기관으로서 많은 활동을 해왔다. 2010~2019년에는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사업을 추진하여 융복합분야 최우수 연구과제로 선정된 바도 있다. 이번 과제 수행을 통해 서울학 연구의 기점 기관이자 국내외 지역학 연구의 선도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pan><br /> </p><p><span>한편,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사업 공고 안내, 중대형 유치경비 지원사업, 연구행정인력지원사업 등을 통해 연구자 수요 맞춤형 행정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span></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Tue, 11 Jun 2024 09:35:33 +0000 YY2020197 6684 at 건축학부 김강수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과제 선정. 총 17억 원 연구비 확보 /node/6683 <span>건축학부 김강수 교수 연구팀, 한국연구재단 과제 선정. 총 17억 원 연구비 확보</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6-04 (화) - 18:31</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C%82%AC%EC%97%85-%EC%84%A0%EC%A0%95-002.png" alt="건축학부 김강수 교수 연구팀"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pan><strong>- 김강수 교수, 건축물 안정성 향상 연구로 중견연구 과제 선정</strong></span></p><p><span><strong>- 정호성 박사후연구원, 자원순환 콘크리트 연구로 세종과학펠로우십 과제 선정</strong></span></p><p><span><strong>- RC&PSC 연구실, 5년간 총 17억 원 연구비 확보</strong></span></p><p> </p><p><span>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는 건축학부 RC&PSC(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 철근콘크리트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연구실 소속의 김강수 교수와 정호성 박사후연구원이 각각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사업의 ‘중견연구(유형1-글로벌형)’와 ‘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 신규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span><br /> </p><p><span>중견연구 과제는 창의성이 높은 개인 연구를 지원하여 중견급 연구자들의 우수한 기초연구 능력을 키워 리더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건축학부 김강수 교수는 5년간 12억 원을 지원받아 ‘건축물 잔존 사용연한 모델 기반 안정성 향상 수평·수직 공간확장형 플랫폼’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노후화된 구조물의 증축 및 리모델링에 활용될 수 있는 건축물 잔존 사용연한 평가모델과 스마트 유지관리 및 방재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span></p><p> </p><p><span>김강수 교수는 “훌륭한 연구자들이 많은 가운데 이번 과제를 수행하게 되어 매우 영광이다. 과제 준비 과정에서 많은 지원을 해주신 서울시립대학교 본부와 산학협력단의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span></p><p> </p><p><span><img src="https://file.uos.ac.kr/upload/smarteditor/2024/06/20240605102433.jpg" alt="좌측 건축공학과 김강수 교수 우측 정호성 박사후연구원" width="62.87%" title="20240605102433.jpg" /></span><br /><span><strong>▲  좌측 건축학부 김강수 교수, 우측 정호성 박사후연구원</strong></span><br /> </p><p> </p><p><span>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 과제는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핵심 과학 기술 인재로 성장 및 정착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사업이다. 정호성 박사후연구원은 5년간 5억 원을 지원받아 ‘자원순환 콘크리트 구조부재 기술구현과 부호회귀 인공지능 기술개발’ 연구를 수행한다. 이 연구는 폐섬유 기능화 기술, 폐콘크리트 전처리 기술, 폐플라스틱 센서 제조 기술, 콘크리트 기능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캡슐 제조 기술 등을 포함하며, 새로운 기계학습 방법인 계층 구조적 시멘틱 군집 기반 부호회귀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span></p><p> </p><p><span>정호성 박사후연구원은 “자원순환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융복합 기술을 활용해 성공적인 연구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말했다.</span></p><p> </p><p><span>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연구자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사업 공고 안내, 중대형 유치경비 지원사업, 연구행정인력지원사업 등을 통해 연구자 수요 맞춤형 행정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span></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Tue, 04 Jun 2024 09:31:26 +0000 YY2020197 6683 at 동대문구 환경교육센터 지정(센터장 환경공학부 구자용 교수) /node/6682 <span>동대문구 환경교육센터 지정(센터장 환경공학부 구자용 교수)</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5-07 (화) - 18:20</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B%8F%99%EB%8C%80%EB%AC%B8%EA%B5%AC%20%ED%99%98%EA%B2%BD%EA%B5%90%EC%9C%A1%EC%84%BC%ED%84%B0%20%EC%97%85%EB%AC%B4%ED%98%91%EC%95%BD%20%EC%B2%B4%EA%B2%B0%EC%8B%9D.JPG" alt="동대문구 환경교육센터 지정"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trong>- 서울시립대, 동대문구,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업무협약 체결</strong></p><p><span><strong>- 2027년까지 3년간 탄소중립과 환경보전을 위한 환경교육 진행</strong></span></p><p> </p><p><span>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가 동대문구 지역 환경교육센터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7년까지 3년 동안 진행되며,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동대문구 구민을 대상으로 탄소중립과 환경보전에 대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환경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span></p><p> </p><p><span>2일에는 서울시립대,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동대문구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지역의 환경교육 촉진과 환경개선 향상을 위해 상호 정보를 교류하고 협력이 필요한 분야를 공유하기로 약속했다.</span><br /> </p><p><span>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는 지역사회 환경개선을 위해 설립된 환경부장관 지정기관이다. 환경부 탄소중립도시 예비후보지로 지정된 동대문구의 추진목표 ▲ 탄소제로 실천교육 ▲ 생애주기 맞춤형 환경교육 ▲ 사각지역 환경교육 학습권 확보를 성공적으로 달성 및 운영할 수 있는 기반과 전문역량을 갖춘 기관으로 평가받는다.</span><br /> </p><p><span>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구자용 센터장(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은 이번 환경교육센터 지정을 계기로 미래세대의 환경보전과 탄소중립을 위한 환경 교육의 허브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동대문구를 만들기 위한 거점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것을 다짐했다. </span></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Tue, 07 May 2024 09:20:53 +0000 YY2020197 6682 at 교육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 선정(단장 생명과학과 정연두 교수) /node/6680 <span>교육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 선정(단장 생명과학과 정연두 교수)</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4-29 (월) - 16:35</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C%82%AC%EC%97%85-%EC%84%A0%EC%A0%95-001.png" alt="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trong>- 3년간 총사업비 71억2천5백만원 사업비 수주</strong></p><p><strong>- 바이오산업 분야 서울지역 중소·중견기업 일자리 창출 및 고급인재 양성</strong></p><p>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정연두)은 교육부가 지원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에 선정되어 향후 3년간 총 71억 2천 5백만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수행한다고 밝혔다.</p><p>‘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은 청년의 진학 및 조기 취업을 달성하고 첨단산업 분야의 중소·중견기업의 맞춤형 고급인재 양성을 조기에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채용 조건형 인력양성 사업이다.</p><p>서울시립대학교는 바이오헬스·에코 융합학과(대학원)를 신규 설치하여 서울지역 바이오 분야 중견기업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우량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선발한 학생을 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 산학 공동연구 수행을 통해 석사 이상 고급인재를 양성해 협약기업에 공급할 예정이다.</p><p>사업책임자인 정연두 단장(생명과학과 교수)는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기업 맞춤형 R&D 고급인재를 조기에 확보하고 산학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서울지역 특화 산업인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지 · 산 · 학 협력체계 구축의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Mon, 29 Apr 2024 07:35:24 +0000 YY2020197 6680 at 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 선정(단장 이승일 도시공학과 교수) /node/6676 <span>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 선정(단장 이승일 도시공학과 교수)</span> <span><span>YY2020197</span></span> <span>2024-02-07 (수) - 16:00</span>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main-img field--type-image field--label-hidden field__item"> <div class="item-image"> <img loading="lazy" src="/sites/default/files/2025-03/%EB%8C%80%ED%91%9C%EA%B7%B8%EB%A6%BC_%EC%9D%B4%EC%8A%B9%EC%9D%BCP.jpg" alt="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 대표그림" /></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body field--type-text-with-summary field--label-hidden field__item"><p><span><strong>- 32.5억 원 정부지원, 2028년까지 5년간 진행</strong></span></p><p><span><strong>- 다학제 융합교육을 통한 “자원순환경제 탄소중립도시환경 구축을 위한 2050국가 NetZero 및 UN 17개 SDGs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목표</strong></span></p><p> </p><p><span>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가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지원하는 ‘녹색융합기술 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span></p><p> </p><p><span>본 사업은 탄소중립을 위해 흡수, 저장, 저감, 포집 기술 및 정책의 효과와 이행 정도를 산업계 및 지자체 등 현장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span></p><p> </p><p><span>서울시립대학교 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단장 이승일 도시공학과 교수)은 7개 학과(도시공학과, 환경공학과, 공간정보공학과, 경영학부, 경제학부, 조경학과, 국제도시과학대학원)를 구성하여, 탄소 중립 규제 대응을 위한 ▲에너지 효율화 기술 ▲공정개선 및 배출량 산출 연구 ▲에너지 전환 등 탄소저감 분야 기술 및 정책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정량적 평가 기반의 다학제 간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도시-환경-공간정보-경제·경영-정책 분야를 아우르는 융복합 교육 및 연구를 통해 탄소중립 대응 도시환경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span><br /> </p><p><span>더불어, 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김현욱 교수가 이끄는 탈플라스틱 특성화 대학원 및 기후변화 특성화 대학원과 연계하여 국내 최초의 지속가능발전과학 융합대학원으로 발전하여 자립할 예정이다.</span></p><p> </p><p><span>이승일 단장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2050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인력의 확충이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6억 톤에 이르는 CO2 배출량을 2050년까지 현재의 1% 수준으로 감축해야 하고, UNEP에 따르면, 전 세계 도시들에서 배출되는 CO2 량이 지구 전체 배출량의 75%에 이른다”며 “도시의 모든 구성요소들에서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그림 참조)하여, 소위 NetZero가 달성하지 않으면, 전 지구적 탄소중립 달성은 어렵다. 이에 본 특성화대학원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자원순환경제 기반 탄소중립 도시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관련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라며, 서울시립대학교 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의 설립 의의를 설명했다. </span><br /> </p><p><span>한편, 이승일 단장은 2020부터 교육부가 지원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전문가 양성 BK21 사업단’의 단장도 역임하는 등 저탄소 녹색성장 및 탄소저감 도시 관련 교육과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span></p></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1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1차분류</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190" hreflang="ko">주요연구성과</a></div> </div> <div class="field field--name-field-cat2 field--type-entity-reference field--label-above"> <div class="field__label">2차분류 주요연구성과</div> <div class="field__item"><a href="/taxonomy/term/203" hreflang="ko">연구과제</a></div> </div> Wed, 07 Feb 2024 07:00:06 +0000 YY2020197 6676 at